■ 분광학 : Organic Structures from Spectra5 DEPT- 13 C NMR 분광법 DEPT - 13 C NMR (distortionless enhancement by polarization transfer) C의 CH3, CH2, CH 와 4차 탄소에 대한 신호를 구별할수 있는 방법이다. DEPT 135 CH2 : down peak를 설명해준다. + : up peak - : down peak 2021. 3. 16. UV/Vis Spectrometer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UV/Vis Spectrometer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 결론 : 짝지은 이중결합의 유무를 판단 1. 개요 분자가 가시 영역이나 자외선 영역의 에너지를 흡수하면 전자 들뜸이 일어난다. 이 전자가 들뜨는 파장을 측정하면 분자내의 짝지은 이중결합의 유무를 판단 할수 있다. 예를 들어, 1,3- butadiene에서 π 전자를 들뜨게 하는데에 에틸렌에서의 π 전자를 들뜨게 하는것 보다 적은 에너지가(긴 파장)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분자 오비탈간의 에너지 차이가 적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1,3,5- hexatriene의 경우에는 전자전이에 더 긴 파장이 필요하다. 즉, Conjugation이 많아지게 되면, 각 오비탈간에 에너지 차이가 적어지게 되고, 가시영역의 파장으로도 전이가 가능하게 된다... 2021. 3. 15. MS: Mass Spectrometry (질량 분석법) MS: Mass Spectrometry (질량 분석법) 질량분석기는 분자 구조에 근거한 질량의 스펙트럼을 만든다. 질량스펙트럼은 IR(작용기 추적)과 NMR(탄소 골격 추적)과 같은 전자 복사선과 관련이 있는 스펙트럼이 아니다. 오히려 분자의 분자량이나 분자로부터 생겨난 토막들에 대응되는 이온 질량의 분포도라고 할 수 있다. (분자량과 분자식을 추정) 1. 개요 분자를 약 10eV정도의 고 에너지를 가진 전자로 충돌시키면, 이 에너지는 분자로부터 전자 하나를 방출시킨다. A : B + e → [ A · B]+ + 2e 여기서, [ A · B]+ : 어미이온 : 라디칼 양이온이라 부른다. 양이온 라디칼은 불안정하므로, 더 작은 토막으로 쪼개진다. [ A · B ]+ → A+ + B· [ A · B ]+ →.. 2021. 3. 15. NMR : Nuclear Magnetic Resonance (핵자기 공명 분광법) NMR : Nuclear Magnetic Resonance (핵자기 공명 분광법) 1. 개요 자기장 내에서 원자핵의 자기모멘트에 특정한 외부의 에너지가 작용하여 그 에너지를 흡수하고 다른 에너지 준위로 전이하는 현상. 또는 이를 이용한 분광법을 말한다. 보통 NMR이라고도 한다. 물질의 특성분석에서 의학 분야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다. 2. 원리 수소를 통해 1개의 양성자와 1개의 전자로 구성하고 있으며 수소핵(+)charge 띄며, 핵의 알짜 스핀운동이다. 자기장이 없는 공간에서는 핵자기 모멘트는 무질서하게 분포화한다. 그러나, 외부자기장이 주어질 경우, 핵 spin이 정렬되어지면서, 자기장과 같은 배향(α spin)과 자기장과 다른 배향(β spin)으로 형성한다. 위와 같이 β spin 은 α spi.. 2021. 3. 13. INFRARED (IR) SPECTROSCOPY (적외선 분광법)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3. 12. 이전 1 다음